| 과목번호 | 과목명 | 교과목 개요(국문) |
| 21020079 | 17세기작가연구 | Corneille, Racine, Molière 등의 17세기 주요 작가에 대해 연구한다. |
| 21020080 | 18세기작가연구 | 18세기의 주요 작가들 중 선정하여 대표작을 읽고 분석·연구한다. |
| 21020075 | 20세기작가연구 | 20세기의 주요 작가들 중 특정 작가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다. |
| 21060308 | 고전주의연구 | 17세기 프랑스 문학의 특징과 주요 작가들을 선정하여 분석 연구한다. |
| 21020093 | 기호론 | 인간이 의사전달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모든 방법을 기호라고 할 때에 기호는 여러가지 유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. 교통신호, 기상신호, 전보, 나아가 인간의 복장도 기호 역할을 한다. 이러한 각종 기호들의 체계와 사용집단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본다. |
| 21020078 | 낭만주의작가연구 | 낭만주의 시대의 주요 작가의 작품을 분석한다. |
| 21020082 | 누보로망특강 | 누보로망의 이론과 주요 작가의 작품을 분석· 연구한다. |
| 21020087 | 문학사회학 | 19세기 이후 사회학적 비평의 방법론적인 양상과 특징을 분석하며 문학작품들을 사회여건과 주제유형을 중심으로 비교·검토한다. |
| 21020096 | 번역학 |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을 하는 데에 걸리는 의미, 통사상의 이론적인 문제점을 고찰하고, 실제 텍스트를 선정하여 번역을시도해봄으로써 가장 적절한 번역은 어떻게 얻어지는가를 연구한다. |
| 21020088 | 불문학이론 | 불문학 전반에 걸쳐 문학의 흐름을 주도해온 여러 이론을 텍스트 중심으로 검토한다. |
| 21060002 | 불비평문학 | 프랑스 비평사의 발전과 현대 비평의 이론의 변천과정을 분석한다. |
| 21020085 | 불소설연구 | 프랑스 소설의 주요 작가들의 작품을 분석·연구한다. |
| 21020084 | 불시연구 | 중세부터 각 시대의 주요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·연구한다. |
| 21060005 | 불어문체론 | 같은 상황을 글로 나타낼 때에 작가에 따라서 그 표현이 달라진다. 또한 같은단어를 사용하더라도 단어의 배열순서에 따라 의미효과가 달라진다. 이러한문체론 이론을 실제 텍스트를 분석하며 연구한다. |
| 21060313 | 불어변형생성문법 | N. Chomsky의 표준 이론, 확장된 표준 이론 등, 변형 생성문법 이론을 살펴본 다음, 이를 불어의 실제 표현에 적용하여 심층구조와 표층구조가 어떻게 구별되며 언어적 표현들이 어떻게 형식화되나를 관찰한다. |
| 21020090 | 불어어휘론 | 불어의 단어는 어휘적인 요소와 문법적인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. 이 요소들이 어떻게 조합되어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가를 알아본다. 또한 각 요소들의 어원론적 배경도 알아본다. |
| 21060007 | 불어언어학사 | 중세로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불어의 언어학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나를 고찰한다. 또한 시대에 따라 달라진 언어학자들의 관심사, 분석방법 등에 대해서 연구한다. |
| 21060310 | 불어음성학연구 | 불어 음성의 체계를 분석해보고 음을 구성하는 음소들의 변별자질들을 추출해냄으로써 불어 음성이 특징을 알아보고, 각 음의 변이들에 대해서 연구한다. |
| 21060004 | 불어음운론 | 인간은 상대방이 발화한 음성을 포착하여 이를 분석하고 이해하여 상대방의 의사를 알아듣게 된다. 이러한 관점에서 불어는 어떻게발화되고 또 발화된음이 어떻게 상대방의 귀에 입력되는가를 알아본다. |
| 21060311 | 불어음운론연구 | 불어 음성학과의 관련하에 음운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다른 언어의 발음과 비교하여 불어의 음운 특징을 알아보고, 비교 연구를 통하여 일반화시킬 수 있는 음운 이론을 모색한다. |
| 21020091 | 불어의미론 | 인간이 의사전달을 하는 것은 의미의 전달이다. 이에 불어는 단어나 문장을 사용하여 그 의미가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알아본다. 단어 내지 문장의 층 위에서 의미 분자들이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분석한다. |
| 21060309 | 불어형성사연구 | 불어의 형성을 통시대적으로 개괄해보며 단어의 발음, 철자, 형태, 의미 등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고찰한다. 아울러 라틴계통의 다른 언어와 역사적으로 어떠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나를 살펴본다. |
| 21060312 | 불어형태론연구 | 불어 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추출하여 그 요소들이 어떤 논리로 서로 연결되어 있나를 알아본다. 의미 요소와 문법 요소를 구분하여 이들의 역할과 상관 관계를 분석해본다. |
| 21029649 | 불어형태통사론 | 불어의 단어는 형태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있나를 알아본다. 또 이러한 단어들이 어떻게 연결되어서 문장을 구성하는가를 고찰한다.즉 불어 문장의 형성을 형태론적, 통사론적 입장에서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| 21020086 | 불여성문학 | 현대 페미니즘 문학이론과 여성작가에 대한 중점적 연구로서 여성의식과 그 실천이 문학 속에 어떻게 표현되어 있으며, 문학 전통속에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는지 살펴본다. |
| 21020083 | 불희곡연구 | 프랑스 연극을 시대별로 주요 작가와 작품을 연구한다. |
| 21060003 | 비교문학 | 프랑스 문학과 외국 문학사이의 상호 영향관계를 비교·분석·연구한다. |
| 21020077 | 사실주의작가연구 | 발자크, 스탕달, 플로베르 등에 대한 작가론 및 작품론을 연구한다. |
| 21020076 | 상징주의시연구 | 상징주의 개념을 파악하고 해당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·연구한다. |
| 21020081 | 실존주의특강 | 실존주의 문학의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특정작가나 특정테마를 선정하여 연구한다. |
| 21020089 | 언어학개론 | 인간의 의사전달, 수단인 언어를 분석대상으로 삼아, 인간이 어떤 방법을 사용하여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가를 알아보며, 또한 그 전달수단은 어떻게 과학적인 방법으로 분석되는가를 알아본다. |
| 21020074 | 연구방법론 | 논문작성을 위한 다양한 분석방법론을 연구하고 실제 논문을 분석, 토론한다 |
| 21102276 | 연구윤리및논문작성법 | 연구윤리 및 논문작성법 교과목(사이버강의)은 논문작성법, 연구자의 사회적책임, 연구 데이터의 관리 등 바람직한 연구 수행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태도를 익히고 연구부정행위를 예방하며 올바른 연구자로서 지녀야 할 윤리를 확립하기 위한 과정 |
| 21060307 | 자연주의연구 | 에밀 졸라를 위시한 자연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 자연주의의 개념을 파악한다. |
| 21060207 | 중세및16세기불문학연구 | 중세의 기사도 문학과 르네상스 문학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기독교 성향이 두드러진 작품과 함께 몽테뉴 등 그 시대의 대표 작가의작품을 분석·연구한다. |
| 21060306 | 초현실주의연구 | 다다이즘, 초현실주의 운동의 개념, 특징파악 및 주요 작가의 작품을 연구한다. |
| 21060519 | 포스트모더니즘의이론과실재 | 포스트모더니즘 관련 이론을 다각도로 연구하고, 이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한 텍스트를 심층적으로 연구하거나 새로운 분석 대상을 찾아 이 이론을 적용해 본다. |
| 21021402 | 프랑스문학과문화 | 프랑스 문학 작품 속에 나타난 문화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고 그 내용을 연구한다. |
| 21060256 | 프랑스문화학 | 프랑스의 고급 문화 전반에 걸친 내용을 학문적인 입장에서 연구 분석한다. |
| 21060255 | 프랑스언어와문화 | 프랑스어 표현 속에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인 요소들을 살펴보고 언어와 문화의 상호 관계에 대해 연구한다. |
| 21021208 | 프랑스영상문화 | 문학을 영상화한 작품을 중심으로 문자언어와 영상언어를 주제 별로 비교·분석·연구한다. |
| 21060517 | 프랑스현대문학과정신분석학 | 프랑스 현대 문학의 흐름을 살펴보고 문학 비평의 한 줄기인 정신분석학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고 선택된 문학 텍스트에 이 이론을 적용해 본다. |
| 21020073 | 현대불문학사조 | 현대불문학의 조류를 개관하고 문학사상의 이론적 특성을 연구한다. |
| 21060006 | 화용론 | 똑같은 문장이라 하더라도 그 문장이 발화되는 상황에 따라 그 의미 효과가 달라진다. 또 어떤 문장은 발화됨으로써 의사전달의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유발시키는 것이 있다. 이러한 발화상황을 고려한 언어학 분석을 고찰한다 |